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정보

퇴직 공무원 취업 제한이 있다고?

by 프로직장시험러 2024. 2. 12.

퇴직한 공무원이 취업에 제한을 받는다는 것, 들어보셨나요? 이것이 바로 '취업제한제도'입니다. 공무원이 퇴직 후 어떤 직장에도 자유롭게 입사할 수 없다는 사실,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제부터 그 이유와 이 제도가 운영되는 방식, 그리고 이에 대한 논란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취업제한제도란 무엇인가?

취업제한제도는 공직 윤리를 확립하고 공무집행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핵심은 퇴직 공무원이 이전 직무를 이용해 개인적 이익을 얻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공무원이 퇴직한 후에도 그들이 가진 내부 정보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취하는 것을 제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해 충돌을 방지합니다.

 

공무원 취업제한의 허들

 

2. 도입 배경과 목적

취업제한제도는 공무원이 퇴직 후 민간 부문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 공직에서 얻은 내부 지식과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회전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공공 서비스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며,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 간의 공모 관계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제도의 개요

취업제한제도는 퇴직 공무원이 퇴직 후 3년 동안 퇴직 전 소속했던 부서와 업무상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기관에 취업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이는 퇴직 공무원이 이전 직무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 기관에 취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이해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취업에 성공한 공무원이 바라보는 야경

 

4. 제한 대상과 기간

제한 대상은 퇴직한 공무원으로, 제한 기간은 퇴직 후 3년입니다. 이 기간 동안 공무원은 전 직무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 기관에 취업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공무원이 공무집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민간 기관이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 간의 공정한 경쟁 환경을 유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5. 제한 조건과 업무관련성

제한 조건은 퇴직 전 5년 동안 소속했던 부서와 취업 예정 기관 간의 밀접한 업무관련성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재정 지원, 인허가, 검사·감사, 조세 부과, 계약, 감독, 사건 수사 등의 업무를 포함하며, 이런 업무들이 이해 충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취업 심사 대상 기관

취업 심사 대상 기관은 자본금 10억원과 외형 거래액 100억원 이상의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 외형 거래액 100억원 이상의 법무법인 등이 포함됩니다. 이 기관들이 취업 심사 대상으로 지정된 이유는 이런 기관들이 공무원의 내부 정보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부당한 경쟁 우위를 얻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7. 업무 처리 과정

취업 심사 대상자가 취업 심사 대상 기관에 취업하려는 경우, 퇴직 전 5년 간 소속했던 부서의 업무와 밀접한 관련성 여부를 심사하고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공무원의 과거 업무 내용과 취업 예정 기관의 업무 내용을 철저히 검토하여 이해 충돌의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업무 처리 과정

 

8. 취업제한제도의 장단점

취업제한제도는 공직 윤리를 확립하고 공무집행의 공정성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지만, 퇴직 공무원의 취업 기회를 제한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 제도가 공무원의 취업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습니다.

 

9. 취업제한제도에 대한 논란

취업제한제도는 공무원의 낮은 보수와 퇴직 후 취업 제한으로 인한 불만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무원의 보수를 적정 수준으로 인상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란은 공무원의 취업 권리와 공공 기관의 공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